A형 백수

단언컨데 개인 주식 투자는 SPAC만한게 없다. 본문

Life

단언컨데 개인 주식 투자는 SPAC만한게 없다.

A형 백수 2018. 6. 13. 23:30

하방은 원금보장 + 은행이자 이상으로 막혀있구...

합병 잘 되면 날라간다.

이미 아비트리지 조건 부합하는 종목 너무 많다.

더이상 바라면 미친거 아냐?

모르는 분들이 많아서 추천글 박음.

관심 있으신 분은 네이버... spac 투자... 검색 go go

여기 사람들 신라젠 만 보는거 같아서 안타까워서 글 하나 박구 감

-------------------------------

혼술 하다가 술김에 쓴 건데...HOT글 까지 되버렸네. 고마워.

몇몇분은 강의 해달라구 하시는데... 사실 그건 쫌 아닌거 같어. 너무 아는게 부족해서 쪽팔릴거 같거든...

그래두 뭔가 마무리는 해야 될거 같은 분위기라 내가 SPAC 관련 아는건 이번 댓글로 다 써 볼께.


SPAC 처음 접하는 거면 아래 블로그 SPAC 게시판에서 개념을 먼저 잡으면되...쉽게 잘 설명되있어.

http://spacinvest.tistory.com/

스팩에 대한 개념을 장착했으면 실제 SPAC 종목을 함 찾아 볼까?

다음 주식 검색창에 '스팩'으로 검색해바바... 104개 종목이 나오는데... 이미 합병승인 되서 일반주식의 길에 들어선 놈들도 많아.

그냥 엑셀에 받아서 가격으로 소팅을 해바바... 2000~2060정도 가격 레인지에 있는 놈들만 보면 되.

이중에 10개 정도 분산 투자를 하면 되... 어떤게 합병 대박 칠지는 아무도 몰라. 미리 알면 빵에 가...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31&newsid=01584246612585288&DCD=A00703&OutLnkChk=Y

내가 종목을 고르는 기준을 이야기 해보면

우선 다들 상장된지 1년반~2년정도 된 종목들을 골라봐...2060원 넘어가면 그냥 제끼구...

SPAC 가격은 "만기시 돌려 받는 청산금 가치 + 합병에 따른 추가 수익 프리미엄" 이라구 보면 되... 당연히 3년 다되가는 종목이면 가격이 비싸.

근데 똑같이 만기가 몇달 안남은 종목들도 가격이 많이 차이가 나... 키움이나 골든브릿지 같이 합병 성공사례가 없는 종목들은 합병에 따른 추가 수익 프리미엄'이 거의 반영 안되있는거지.

그럼 키움스팩3호,키움스팩4호, 골든브릿지제2호스팩,골든브릿지제3호스팩...이런 친구들은 피하는게 좋은가? 난 이런 넘들도 좋아해.

키움스팩3호 지금 가격이 2010원이야. 몇달안에 합병 안되면..  대충 2070원 정도를 청산금으로 받을거야... 1년 미만 투자기간에 수익이 3% 인거지. 은행 이자보다 훨씬 높아.

개인 투자 성향에 따라 위에 말한 채권성 스팩 종목을 일부 담구나서... 나머지는 이제 합병 성사 경력이 있는 증권사 쪽 스팩을 담으면 되... 케이비, 미래, 하나, 엔에이치, 아이비케이... 
그냥 눈감구 찍으면 되... 어떤게 합병 될지 아무도 모르거든... (케이비8호스팩 같은건 지금 상장 2년이 넘었구... 케이비증권 과거 합병실적두 화려해...근데 지금 2020원이네...나 같으면 이런 종목을 담을 거 같어)

종목을 고르고 투자했으면 이제 기다리면 되... 네이버 증권 같은데서 공시자료를 봐구 되구... 아래 까페 스팩게시판을 모니터링 해두 되... 지긋하신 분들이 오는 곳인데... 합병 승인 공시 같은 정보들이 거의 실시간으로 올라와.

난 다음까페 어플 깔아놓구 아래 카페 스팩 게시판에 새글 올라오면 알람오게 설정해놨어.
아무리 바뻐두 사놓은 스팩... 승인 되는거 모르고 지나갈 일은 없을거야

http://cafe.daum.net/cbbond


내가 아는건 이정도야... HOT글 보내준거 고맙구...혹시나 궁금한거 있음 쪽지해... 아는 범위내에선 답변 해줄께...단, 위에 블로그 글은 먼저 읽구 질문해주는게 좋을거 같어.

마지막으로... 스팩투자는 정말 리스크가 없는 투자지만... 1년정도 돈이 묶일 수 있어... 은행 정기예금 이라구 생각하구 해야 되.

글구 내가 산 주식은 무조건 오를거라구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루 많은데... 이런 분들한테는  기다림이 너무 지루 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 안 함

ps. 매수청구권 이야기를 안했네... 합병이 승인 되면... 합병 승인 신청 이전에 매수한 주주한테는 매수청구권이라는 게 있어...  마지막 안전핀인거지... 매수청구 기간중에 증권사 지점에서 전화가 올거야. 정답은 (1) 합병 반대, (2) 매수 청구권 행사야...

일단 매수청구권은 확보해 놓구... 청구가 이상에서 장내 거래되면 청구 기간내에 장내 매도 해두 되... 난 매수청구권 청구기간 이후로는 스팩주 안 가져가... 매수청구금액을 받던지... 아님 장내 매도 하던지... 왜냐면 청구기간 넘어가면 더이상 안전핀이 없거든...언제든 하한가 갈 수 있는 그냥 일반 주식이니까...10여일 전에 썻던 첫번째 SPAC글에 ㅇㄷ도 엄청 많이 받구... 고마워... 덕분에 대화두 많이 받았어.
https://kr.teamblind.com/s/voZgi7pp

업무시간 이후에 질문하는 분들한테는 차근차근 아는 범위내에서 다 답변드렸는데... 업무시간중엔 간단한 답변 밖에는 못하겠더라...

근데 다들 질문이 똑같어... 나두 같은 답변 계속 타이프 치는거 귀찮아서 FAQ를 올린다 생각 하구 다시 한번 글을 올려보려구...

사실 대부분의 질문은 지난 글에 올럈던 블로그에 다 나와 있는 거였어...

http://spacinvest.tistory.com/category/About%20스팩%28SPAC%29

(미안.. 맨 첨에 올렸던 플레인바나나 보다 여기가 더 설명이 잘되있는거 같아서 ...여기루 바껐어..근데 스팩 합병주 가치분석 글은 하나두 안 맞더라)

암튼 스팩주에 대한 개념은 여기 블로그에 다 나와 있어.

이번 글에 이야기 할거는 크게 두가지야. (1) 왜 SPAC이 무위험 투자인가? (2) 어떤 종목을 골라야 하는가?

(1) 왜 SPAC이 무위험 투자인가?

먼저 요즘 몇일 장이 워터파크였자너... 그걸 예측하구 주식 비중 줄인 개인투자자는 거의 없었을꺼야(물론 아직 하락장이라구 부르긴엔 넘  약하지만) 다들 주식계좌 어디가 좋냐구 묻는 글 천지였자너.

개인이 자기 돈으로 주식투자하는건 내가 뭐라 할바 아닌데... 내가 걱정하는건 딱 하나야... 다들 신라젠에 우기투 성공 글을 보구 난 뒤라...너무 기대수익률이 높아... 수익 인증글에 판단력이 흐려지는거 같어. 사실 개인 투자자 기대수익률은 -50%~50% 이긴하지만 대부분 (-) 쪽에서 끝나거든

개인이 시장수익률보다 아웃퍼폼하는 경우는 정말 드물어... 특히 3년 정도 장기로 보면 매년 10% 이상 수익 난 개인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정도야. 그나마 수퍼개미나 얼마전 화제가 됬던 이모 헌법재판관 후보자 같은 사람들이나 가능한거야.

개미가 그나마 3년 이상 계좌인증한거라면 몰라두 1년 미만 기간 수익인증은 아무 의미가 없어.

내가 하구 싶은 말은 남들 수익인증 보구 기대감에 노름판에 달려 들지 말구 기대수익률을 낮게 잡으라는거야. 연 5% 만해두 은행이자 대비 250% 야... 엄청난거야...돈을 불리는 것두 중요하지만 금수저 아니라면 힘들게 번돈을 잃지 않는게 더 중요하자너.

자 이제 SAPC이 왜 무위험 투자 인지 말해볼께. 지난번 글에 설명이 부족했는데... 합병신청 들어가기 전 스팩을 사게 되면 1~2년 안에 딱 아래 3가지의 결과 뿐이야.

  i. 합병승인 후 거래 재개되구 나서 주가 상승 -> 적당히 매도하구 나오면 되.
    - 과거 미래에셋제2호스팩, 케이비제3호스팩처럼 합병되구 엄청난 수익을 준 경우도 있구...
    - 이번달 합병 승인 된 하나머스트4,5호, 케이티비스팩2호는 모두 합병 승인 직후 거래가가 3~4천대원였어.

  ii. 근데 합병 승인 이후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도 종종 있어. -> 이땐 매수청구권을 행사하면 되
    - 합병 승인 뒤에 주식거래가 재개 되구 보통 두달 후가 매수청구 마감일이야. 이때까지 매도 못했구 만약 주가가 매수청구가(보통 2030~2040정도) 보다 낮으면 무조건 매수청구권 행사를 해야 되(증권사 지점에서 전화가 와)
    
    ※ 물론 매수청구마감일 이후에도 상승이 기대 된다면... 계속 들고가두 되겠지만... 솔직히 난 말리구 싶어...대부분 합병 대상 회사가 정보도 없는 작은 회사가 대부분이라... 무조건 스팩투자는 매수청구권마감일 이내까지만 하는게 정답야. 그 이후는 안전핀이 없어지니까... 차라리 분석글이라두 많은 신라젠이나 우기투 하는게 낫지.

  iii. 상장되구 3년동안 합병 승인이 안날 수도 있어 -> 그럼 청산금을 받는거야
    - 이번달만 2개 스팩 청산금을 받았는데 청산금이 주당 2085, 2086원였어... 언제 들어갔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은행이자율+a 쉽게 날 수 있는 수준야.
   

  3가지 중에 어떤 경우여두 원금손실 리스크는 없어. 물론 내가 산 주식은 무조건 오를 거라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두 뒤로가기 눌러.

(2) 어떤 종목을 골라야 하는가?

스팩의 시장가격은 '1) 채권으로서의 가치 + 2) 합병 프리미엄'으로 결정된다구 보면 될거 같어.

  1) 채권으로서의 가치
   
  회계나 재무 공부한 형들은 잘 알겠지만... 아래 그래프에서 핑크색 선 아래에 위치하는 종목들은 3년 만기 까지 가면 무조건 은행 이자 이상 먹는거야. 핑크선에서 많이 떨어져 있는 종목은 은행이자 두배두 가능해... 무위험 투자인데도 말이지...

  2) 합병 프리미엄

  그럼 핑크색 위에 있는 종목들은 왜 거기 있는걸까? 시장에서 합병 가능성을 높게 보는거야. 아무래두 한번 해본 증권사가 앞으로도 또 할거 라는 기대감이지. 
  (근데 꼭 그게 일치하는건 아냐. 얼마전 케이티비스팩2호는 케이티비증권 첫 합병 사례였구... 케이비스팩8,9호는 과거 화려한 합병 경력에두 핑크색 선 아래에 있어)

  결론을 내자먼...어짜피 어떤 종목이 합병 될지 모르는 상황이라면 적당한 만기 잔여기간(상장 1~2년 된 종목) 중에 2060원 이하에서 10개~15개정도 고르고 1~2년 기다리면 된다는거지.

  기대수익률을 물어보는 분도 많았는데... 내가 보기엔 스팩 투자의 연기대수익률은 2%~15%야. 최하인 2%는 종목10개를 찍었는대 아무것두 합병 안되구 그냉 다 청산 할 경우고... 최대인 15%는 찍은 종목 중에 몇개가 성공 했을 때를 가정한거야.

  아래 그래프는 현재 합병 신청 이전의 스팩을 그패프로 정리한건데(2017년 상장된 스팩은 몇개 뺐어,...정신 사나워서) 참고해. 30개 정도 되네...

  언제든 궁금한거는 아는 범위내에서 답변 할께. 주말 잘 보내^^
Comments